대중의 미망과 광기

Posted 2008. 1. 24. 23:24 by 알 수 없는 사용자

Extraordinary popular Delusions
 the Madness of Crowds

찰스 멕케이, [대중의 미망과 광기], 이윤섭 역, (창해, 2004)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언제부턴가 읽기 편한 책을 잡지 않게 되었다. 무시무시할만치 공부편력이 있어 "그 따윈 읽지 않겠다"고 결심한 바는 없고, 그만치 비실용적인(?) 독서를 소외시켜왔던 모양이다. 활자를 지겨워하고, 내 손으로 쓰고 읽는 것 조차 귀찮아지면서, 책 그 자체에 대해서 은밀하게 떠들었던 허세가 무너져 버린 것도 이미 오래 전 일이다.  
 
옛날에는 쉽게 아무 책으로든 갔던 손이었다. 이제 뭔가 우습고 자만스런 것이 되어 제 주인의 게으름을 감춘다. 뭐라 자처하고는 싶으니 읽는 것이고, 애초에 즐거워 해서 시집이며 소설을 들고 다녔지만, 소지품 쯤을 드는 습관으로 인이 박힌 책 "소지"가 사실 스스로 책 읽는 즐거움을 들어먹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잠깐 곰곰히 생각해 본다.

그런 의미에서 책.계.에 올리는 첫 번째 서평 주제로 이 책은 참 가볍다. 그러므로 꽤 흥미를 유발 한다. 가벼운 마음으로 착석해서 매우 더 가벼운 마음으로 자리를 뜰 수 있도록 쉽고 간단한 어투를 유지하는 만큼, 문득 옛날에 보던 (싸고 다양한) 잡학서적들이 떠올랐다.




2.

일괄로 표지를 이루어 나오는 'XX 총서'들 처럼, 각각의 사례들을 간단한 요지로 묶어 놓은 이 책은 그 나름대로 "The classic"으로 소개된다.

"민중의 미혹된 모습은 매우 오래되고 널리 퍼진 것이므로, 모두 다루려면 두세 권이 아니라 50권으로도 모자랄 것이다. 이 책은 대중의 미망과 광기를 다룬 역사책이라기보다는 수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1852년 판의 저자 머릿말>

실제로 이 책에서 글쓴이의 특별한 역사적 관점이나 분석의 의욕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은 거의 없다 볼 수 있다. 유럽 민족사에서 관찰한 "변덕스럽고 기묘한 모습"을 역사적 장르 안에서 다루려는 이 이의 계획은 솔직하다. 대개는 어이없음을 표현하는 직설적인 느낌표들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느낌표는 때로는 분노를, 때로는 위트를 표현한다. 그러나 그 전반적인 부정에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할 수 있을 만큼 이슈는 크고, 역사는 그 만큼 흥미있는 볼륨만을 드러낸다.  

17세기, 또는 18세기 서유럽을 중심으로 대중들의 투기심리를 다루는 "미시시피 계획"이나 "남해회사 거품사건", "튤립 투기 대소동" 챕터는 "주식투자자들을 위한 입문"의 요량으로 읽힐 것이라 권장되고 있기도 한데, 저자는 대중들의 요령부득한 우매함을 비꼬면서도, 실지로 그 대중심리 이면에 있는 맥락을 정밀히 추적하는 작업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사건과 대중은 항상 유리 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존재하는 "이해관계"를 바라볼 수 있는 유일한 시각은 가난, 무지, 방종이라는 도덕적 퇴락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에서 이 책은 본래의 가볍게 산보나가는 듯한 문맥을 끝까지 유지해나갈 수 있기도 하며, 더욱이 섣불리 미시사적이라고도 볼 수 있는 풍속도에 있어 여러가지 사례를 가볍게(사료 따위 누락된들), 재밌게 늘어놓을 수 있는 미덕을 끝까지 놓치지 않는다.  
 
"십자군 전쟁"이나 "마녀사냥", "머리모양과 수염에 미치는 정치와 종교의 영향", "자연사를 위장한 독살", "유령의 집" 등으로 진행되는 챕터의 구성을 지나면서 이러한 저널리즘적 관점은 점점 더 명확해진다.  




3.

응! 단도직입적으로 저자의 탐구 대상이 되는 "대중"의 발견은 없다는 뜻이다.
그런 의미에서 재밌는 것이고, 그런 의미에서 거기까지만 재미가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 책을 지탱하는 구체적인 지적 의도는 문장들의 평균 길이 만큼이나 명료하다. 한 단어라면 "근대의 구획"이라는 간결한 의도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계몽시대 이전의 집단으로서의 인간, 즉 적법한 사회의 공적 규칙에 묶이지 못하고, 나아가 그러한 범주화를 스스로 파악하는 데 이르지 못한 역사적 미발단계가 이 책의 주인공인 "Crowds대중"을 규정하고 있다.
일테면 마녀로 몰려 불에 타 죽은 노약자, 과부, 부랑아, 정신병자, 행려병자, 바람둥이, 성격파탄자 등등은 어리석은 시대에 잘못 태어나 희생된 것이다. 그 속에 일정한 사회적 함의가 있다 해도 이는 명백히 인간의 어리석음으로 곧장 치환될 수 있는 범주에 머물 것이다. 이 책이 지목한 광기에는 이처럼 애초에 사회와 인간에 대한 의식이 일괄적으로 미비한 역사적 상황이 단단히 전제 되어 있다.
결국 이 책에 있어 대중은 '근대-교양' 이라는 문화의 구획을 받지 못한 집단으로 그려진다. 자본주의의 유동적 구조에 대한 잘못된 이해, 인간 존재에 대한 미신, 교권과 절대왕권, 봉권 질서가 혼재된 상황 등이 드러내는 밑바탕은 그야말로 "전근대"다. 대중의 역사에 있어 전근대- 근대 초엽에 일어났던 '광기'는 전적으로 역사적인 '미망'에서 기원하는 것이며, 이 미망과 광기의 간극을 보여줌으로서 책과 글쓴이는 그 소임을 마친다.

이는 일반적인 의미의 "대중"을 명명하는 역사적 단계에서 매우 초기적인 한 단면을 보여주는데 그칠 뿐이므로 사실 엄밀하게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실질적 행위자인 대중의 형성을 보고자 하는데는 별 도움이 못 될 수도 있는 일이다. 단지 1850년도를 살고 있었던 글쓴이는 그 님의 세계에서 반성하고 또 기대할 수 있는 것들을 이렇게 적고 있다는 뜻으로 이해해 볼 수 있을까.


"그러나 광신에서 비롯되었고 잘못이 많았으나, 십자군이 전혀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 봉건영주들은 우월한 문명과 접촉해서 좀더 각성하게 되었다. 민중들의 권리도 조금은 향상되었다. 유럽인들은 힘든 경험을 통해 미신에서 조금씩 벗어나 다가오는 종교개혁을 맞이할 준비를 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하느님은광신을 통해 서구인들에게 문명의 발전을 가져오게 한 것이다."
<288.p>



<Fin>





-덧붙이기
 
<또 근대, 대중>

이 책이 쓰여진 19세기 말을 전후로 이른바 "근대성"이 모습을 갖춰갔음은 다들 아시는 바다. 그 이들이 가졌던 기대로서의 발전과 진보는 가감없이 "계몽"이라는 단어로 형상화 될 수 있다. 일직선상의 진보는 이성적 계몽에 의지하고 있었다. 대중의 역사를 비관함으로써 새로운 대중을 희망했다는 점에서 글쓴이는 당시 매우 흔했던 근대인이자 지성인의 대열에 당당히 들어서고 있다.
무지와 무질서에서 발현한 광신, 탐욕의 광기를 온전히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도인 19세기적 계몽은 사실상 근대의 완전한 쌍둥이며 규율, 권력, 무한한 발전과도 근친이다. 현재 우리에게 문제적인 것으로 다가오는 근대 - 근대성 또한 여기서 본질적으로 진보한 것은 아닐 것이다. 계몽이라는 유물을 오늘날 공공성이라는 이름으로 살짝 바꿨을 때, 이는 사실상 제각각의, 그러나 한 길의 척도를 따라 아직도 내 앞에 놓여있다.

공적인 도덕, 그것은 투명한 윤리의 세계다. 자유주의에 굳건히 기대면서도 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공공의 약속을 실천할 수 있는 시스템. 그것은 구조이며, 범주이며 여전히 구식의 경계 안에 놓여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종 혼란스러워지는 것은 내 자신의 정체성이며 지향이다.

대중. 군중이나 공중이라는 말과 다르게 사용되는 대중을 전제함.

바보똘추불한당의 복수대명사에 가까운 대중과 소비사회의 근접도가 판명될 수록 우리는 스스로 대중 속에 있지 않음을 부정하기 힘들어지기 때문에, 내가 [대중의 미망과 광기]라는 제목에서 홀현히 파시즘, 또는 권력과 억압 속의 불쌍한 '나'를 떠올린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파시즘 체제를 구분하는 명백한 기준이 대중의 동원이라는 결과 자체, 또는 그 구체적 내역에 있지 않고, 대중과 사회과 맺고 있는 발산과 수용의 관계에서 결정된다는 점을 얼마전에 나는 배운 바 있었다. 이는 어느 정도 윤곽이 잡히는 소린데, 즉, 방법론을 떠올림이다.

이를테면 근본적으로 파시즘 체계가 사회의 공적 가치를 도덕의 영역으로, 이데올로기화하고 신격화하고, 심미화한다는 논의가 (신형기 외, [문학 속의 파시즘], 삼인, 2001) 전제하고 있는 사회의 규율가치는 도덕이다. 신 교수님이 도덕을 윤리와 조응시켜 분리하고, 우리가 얼음처럼 맑은 누군가들의 윤리적 주장에 전율함을 끝없이 체험하는 한, 내가 지지해야 할 그 윤리적 가치를 합의하기 위한 공공의 규율과 권력을 나는 찬성한다. 요런 문제.
 
근대의 공공성은 물론 규율 권력 속에 작동한다. 역사적 맥락 속에서 적법한 지류에 편입되려는 욕망이 21세기에 "근대성"을 찾게 만든다 했을 때, 그렇다면 적절한 선에서 공공의 권력을 구상하는 것이 여전히 우리에게 진보의 길인 이상 (포스트 모던을 명백히 비웃는 것만 같은) 우리는 근대적 규율의 지배를 끝없이 갱신할 수 밖에 없지 않은가.
공공이라는 말이, 신화적인 "근대" 속에서 논리적 후광을 잃지 않을 수 있다면, 결국 공공성의 알맹이는 "공공적 수단으로서의 공공성"을 의미하는 것일 테니까 말이다.
아주 좋게 말해보자.
"무지한 대중으로서의 혐의를 벗는 길은 계몽된 사회적 기준을 부여받는 것도, 사회적 권력에 유치됨을 거부하는 것도 아니다. 근본적으로는 변화해야 마땅한 공공 개념의 유동성을 감시할 수 있는 대중 지성의 성장[계몽], 그것을 보조하는 구조적 자산에 달려 있음으로 귀결되지 않을까."

또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의 합의와 대중의 움직임에 있어서 권력이라는 근본적으로 어두운 독점이 존재하고, 집단은 집단으로서 언제까지나 미망과 광기의 혐의에서 완전할 수 없다는 비관은 여전히 그 자리에 있다.
오에 겐자부로 식으로라면 정말 거대한 새의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느낌.
그렇다면 과연 여기서 탈 근대란 정말로 무엇이야.
라고 묻고 싶은 심정이다.